Game Engine
![[ Unreal Engine 4 ] Collide 생성하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wYFC4%2FbtrnmO3J5jG%2Fatuo5pJAI8cQ6PwKRlCgpk%2Fimg.png)
[ Unreal Engine 4 ] Collide 생성하기.
1. 콜라이드를 하고자 하는 액터를 찾아, 들어간다. 2. collision 탭에서 'auto convex collision' 을 선택하여 자동으로 콜리전 만들기. 3. 원하는 값만큼 늘려서 적용시키기. 끝~
![[ Unreal Enigne 4 ] 스공_Ver2](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ZmhI2%2FbtrnnDvbpMK%2F76KXpK0mVolRdq3eXE2kZ1%2Fimg.png)
[ Unreal Enigne 4 ] 스공_Ver2
블루프린트 클래스 사용. 1-1. 문이 열리는 시퀀스를 만들고 키를 누르면, 시퀀스가 플레이되게 하세요. 1-2. 문이 열린느 시퀀스를 만들고 캐릭터가 다가가면, 시퀀스가 플레이되게 하세요. 1. 전등에 다가가면 조명이 켜지게 하세요. 1-1. 전등에 다가가면 조명이 깜빡이며 마치 고장난 전등처럼 만드세요. 1-2. 전등에 다가가면 조명이 랜덤한 색으로 깜빡이게 하여 마치 고장난 전등처럼 만드세요. 1-3. 전등에 다가가면 글씨가 보이고, j키를 누르면 켜지고 k키를 누르면 꺼지게 하세요.( 단, 영역에 인식 되었을 때만 인풋 가능. ) 2. 바위에 데미지를 주면 깨지게 하세요. 2-1. k키를 누르면 바위가 터지게 하세요. 2-2. 카운트를 세고,..
![[ Unreal Engine 4 ] Custom Character 를 언리얼 ThirdPersonCharacter 템플릿으로 불러오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ArRUc%2FbtrmCNTobq8%2F7sO6wT8scABzrvQZ6K8KFk%2Fimg.png)
[ Unreal Engine 4 ] Custom Character 를 언리얼 ThirdPersonCharacter 템플릿으로 불러오기
목차 1. ThirdPersonCharacter 템플릿 동작방식 이해하기 2. Custom Character 를 언리얼 ThirdPersonCharacter 템플릿으로 불러오기 2-1. 캐릭터에 애니메이션 넣기 2-3. Blendspace 사용하기 #ThirdPersonCharacter 템플릿 동작방식 이해하기 ThirdPersonCharacter BluePrint 1. 키보드 입력에 따른 캐릭터의 움직임과 회전 ThirdPersonCharacter 는 키보드의 입력에 의해, 움직이고 회전한다. 그렇다면, 이 키보드 입력 값에 따른 움직임과 회전은 어떻게 줄까? 움직임과 회전은 ThirdPersonCharacter Blueprint 로 만들어져 있다. Movement Input Logic - 이벤트 ( ..
![[ Unreal Engine 4 ] GameMode](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dbZigg%2Fbtrl4pEOR9l%2Fbf8JOlHOd9yqUiek393Olk%2Fimg.png)
[ Unreal Engine 4 ] GameMode
목차 목표 개요 1. 게임모드란 ? 목표 언리얼엔진에서 ThirdPerson이 가지는 구조를 분석해보자. 언리얼 엔진의 게임모드 구조를 이해하자. 1. 개요 아웃라이너를 살펴보면 플레이를 하지 않았을 때는 없던 것이, 플레이를 할때에만 생기는 것들이 있다. 그렇다면 여기서 생기는 게임모드란 무엇일까? 2. 게임모드란? 기본적으로 게임이 어떻게 구성되어져 있는지를 설정하는 것을 게임모드라고 한다. 플레이하는데에 필요한 플레이어 수와, 그 플레이어가 참가하는 방식 등의 요소들을 설정한다. 2-1. 현재 레벨에 설정되어 있는 게임모드 윈도우 -> 월드 세팅을 열면, 게임모드를 확인 할 수 있다. 오버라이드, 프로그래밍에서 사용되는 용어처럼 덮어쓰다의 의미로, 현재 설정되어있는 모드를 의미한다. 월드 세팅은 현..
![[ Unreal Engine 4 ] UI_User Interface](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VE0wO%2Fbtrl1YGTM7H%2F9YZySHKFt9dBYo0YP53X21%2Fimg.png)
[ Unreal Engine 4 ] UI_User Interface
목차 1. UI 개요 2. Unreal Engine UI 적용 1. UI 개요 User Interface 란 ? - 사용자가 버튼을 조작하거나, 콘텐츠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통해 사용자와 콘텐츠가 서로 인터렉션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즉, 중간다리 역할을 한다. Inter + Face Inter는 서로 상호간의 라는 뜻. Face는 얼굴. 즉, 서로 대화하게 만든다는 뜻. 2. Unreal Engine UI 만들기 UI 에셋을 적용시키기 위한 언리얼엔진 도구 위젯블루프린트를 사용한다. 위젯 블루프린트는 블루프린트 비주얼 스크립팅 를 사용하여 레이아웃을 디자인하고, 버튼을 클릭했을 때나 값이 변하는 등의 상황에서 어떻게 하는지와 같은 UI 요소의 스크립트 함수 기능도 짤 수 있다. 3. UI 적용하..
![[ Unreal Engine 4 ] Post Process Effect](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kDd5R%2FbtrlfXvTF2r%2FoTmPFYnsKZoeKU1LcBfRZK%2Fimg.png)
[ Unreal Engine 4 ] Post Process Effect
목차 1. Post Process Effect 개요 2. PostProcessVolume 3. LUT_look up table 1. Post Process Effect 렌더링 직전에 적용되는, 씬의 전체적인 느낌이나 모양을 조정 할 수 있는 이펙트 2. PostProcessVolume 레벨 안에 추가 할 수 있는 볼륨으로, 색보정이 가능하다. 포스트 프로세스 볼륨의 디테일 패널에서 컬러 그레이딩을 통해 아래와 같이 색보정을 할 수 있다. Misc -> Scene Color Tint 로 전체적인 색보정 가능. 즉 플레이어가 색안경을 끼둣. 하지만, 전체적으로 색이 변하기 때문에 디테일한 부분이 떨어지기도 한다. 때문에 컬러마다 어떤 설정을 주겠다라는 색보정 가이드인 ' Color Lock Up Table ..